자동화 운영 제어 통합 솔루션
최적화된 공장자동화 구축을 위한 다양한 패키지 형태 솔루션을 스마트팩토리 플랫폼 제공을
통해 설치에서 운영까지 편리하고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통해 설치에서 운영까지 편리하고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설비 및 설비 간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생산운영부터 설비보전,모니터링까지 통합된 운영 관리/즉각적인 처리가 가능한
서비스로 고객이 자원을 보다 효과적으로 활용하고 운영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게 해줍니다.
서비스로 고객이 자원을 보다 효과적으로 활용하고 운영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게 해줍니다.
MES
EAS
MCS
WMS
FMB
QMS
RMS
PMS
DSP
rSPC
Field-oriented
Optimized service



역할의 정의
nexBe+ DSP는 발송 규칙을 생성하고 규칙을 사용하여
자재 및 장비를 발송하는 발송자 솔루션입니다.
자재 및 장비를 발송하는 발송자 솔루션입니다.
-
nexBe+ DSP는 운영자가 'What-next' 및 'Where-next'를 결정하도록 도와줍니다.
nexBe+ DSP는 상세한 정보와 프로세스의 우선 순위를 보여주기 때문에 작업자는
다음 재료와 다음 프로세스를 예약할 수 있습니다. - 작업자가 다음 재료 또는 다음 공정을 할당하지 않을 때 nexBe+ DSP가 스스로 결정할 수 있습니다.
-
nexBe+ DSP는 Rule Logic 구성 요소(활동) 및 Rule Deploy 모듈을 포함한
통합 환경을 제공하여 디스패칭 규칙 생성, 모델링 및 매핑을 지원합니다.
Dispatcher는 다양한 정보로 고려한 Lot의 우선 순위와 Run 대상을 알려줍니다.
또한 Product/Lot를 구동할 기계를 할당하여 기계 활용도를 높이고 Lot 대기 시간을 최소화하며 제조 공정을 최적화합니다.
또한 Product/Lot를 구동할 기계를 할당하여 기계 활용도를 높이고 Lot 대기 시간을 최소화하며 제조 공정을 최적화합니다.
Unified Communication + Operation Efficiency Improvement + Unified Run Execution
Dispatcher의 역할
Lot Sorting
-
Lot List Sorting :
운영자 요청 시 Dispatching Rule을
이용하여 정렬된 Lot List 제공합니다. -
Lot Reservation :
기계 요청 시 예약 Lot를 생산으로 진행합니다.
What-Next
-
Auto Selection :
예약된 Lot이 없을 때, 디스패칭 규칙을 사용하여 생산에 가장 적합한 Lot를 선택하여 생산에 사용하는 자동 선택 과정입니다. -
Auto Transfer :
예약된 Lot을 처리할 수 없는 경우,
디스패처에 의해 다른 가장 적합한 Lot를 선택하고 이를 진행하는 결정 시스템입니다.

Where-Next
-
Next Machine Auto Selection :
언로드 요청이 발생할 때, 다음 장비 또는 스토커를 자동으로 결정하는 자동 선택 시스템입니다.
- 사례 : 장비에서 장비로, 장비에서 스토커로
- 고려 요소: 일정 결과, 스토커 우선순위, 이동 거리, 포트 상태, 스토커 활용 등

장점 및 특징
아이콘 기반 시각적 모델링
- 시각적인 규칙 모델링을 지원하여 IT 엔지니어와 도메인 지식 엔지니어 모두가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 드래그-앤-드롭 기반 환경을 지원하여 생성 및 수정이 쉬운 디스패칭 규칙 생성 할 수 있습니다.
Workflow 기반 솔루션
- 워크플로우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한 개발 및 맞춤화의 높은 유연성을 제공합니다.
-
Easy to customize: 정책 모델링 또는 구성 변경으로 맞춤화를 수행할 수 있습니다.
규칙 모델러 팔레트에 규칙 논리 활동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맞춤화나 수정에 대한 MES 공급업체 독립성을 제공합니다.
규칙 추적 지원
- 생성된 규칙을 테스트하기 위한 규칙 추적 기능 제공합니다.
- 개발자는 규칙 실행 결과의 각 규칙을 추적할 수 있습니다.
쉽고 빠른 개발
- 도메인 지식에 초점을 맞추어 개발할 수 있습니다.
- 사전 정의된 규칙 세트를 이용하여 개발을 지원합니다.
강력한 모니터링 기능
- 메시지, 규칙 실행, 명령에 대한 시각화 된 모니터링 제공합니다.
- 실시간 모니터링 제공합니다.
- 규칙 성능 모니터링
제품구성
시스템 구조
IT Technology
- 1. Component Management Through Spring Framework
- 2. Protocol Adaptor via RMI,JMS and JNDI Service
- 3. BPEL based Workflow
- 4. XML Configuration
- 5. Object Related Mapping
- 6. Log4J Configuration
- 7. Java Interpreted Script
- 8. Connection Pool Service
- 9. Thread Pool Service
- 10. Generates SQL
- 11. Eclipse Plug-in : SWT
- 12. Eclipse Plug-in : GMF
Field-oriented
Optimized service

Rule Design
- Rule Modeler
- Workflow based Rule Design
- Rule Simulation
Rule Assign
- Assign Manager
- Reference data migration
- Policy Modeling
- Simulation Mode / Execution
Execute
- aimDSP Engine
- Full-Auto Mode
- Semi-Auto Mode
Report
- Execution Summary
- Report
- Monitoring dispatching event, message, rule, executions
제공 범위
nexBe+ DSP function component
Dispatching Condition
- UI 기반의 디스패칭
- 이벤트 기반 디스패칭
- Interval 기반 디스패칭
Rule modeler
- Workflow 기반 규칙 설계 및 수정 기능
- 통합된 시뮬레이션 도구 및 즉각적인 테스트 기능 제공
- BUT (Bottom-Up Tracing method) 기반의 규칙 로직 구성 요소 (액티비티)의 역 추적 기능
Rule assign manager
- 특정 장비 또는 프로세스에 최적화된 디스패칭 규칙 할당을 위한 관리 기능
- 참조 데이터 마이그레이션, 정책 모델링, 규칙 할당, 실행 및 디버그 기능을 위한 관리 기능
Rule monitoring
- 실행 중인 디스패칭 규칙 결과에 대한 실시간 모니터링
- 분산된 디스패처 환경에서 각 디스패처 애플리케이션의 성능 모니터링
Rule execution summary
- 보고 기능
01Dispatching Condition
- Event based(Auto) dispatching
- ECS(MES)에서 LR/UR이 발생하면 디스패처가 최적의 Lot 및 장비를 자동으로 선택하고, 그 다음 MCS에 디스패칭 명령을 보냅니다.
- Interval based (Auto: Batch service) Dispatching
- 주기적으로 이상 사례 대기 목록에 있는 장비나 CST(컨트롤 시스템 트랜스퍼)를 감지하고 (작업 미진행, 장비 정기 점검, 스토커가 가득 참 등), 그 후 디스패칭 명령을 다시 할당합니다.
※ WIP: Work In Process
PM: Pre Maintenance
PM: Pre Maintenance
- UI based (SEMI-AUTO) Dispatching
- 반자동 디스패칭 기능은 운영자가 Lot 프로세스의 '다음은 무엇인가' 또는 '어디로 갈까'를 선택할 때 참고할 결정 지원 기능을 제공합니다.
Equipment Click > Dispatcher Trigger
Priority | Target Lot | Sorting Method |
---|---|---|
1 | 현재 장비에서 진행 중인 Lot 카세트 위치가 현재 장비이고 상태가 “Run”인 Lot | Log-in time in ascending order |
2 | 현재 장비에 로딩 중인 Lot 카세트 위치가 현재 장비이고 상태가 “wait”인 Lot | Port arrival time in ascending order |
3 | 현재 장비로 가는 중인 Lot 예약 목록에 있는 Lot이며, 동시에 Dispatching‘큐 테이블’의 “대상”이 현재 장비의 포트인 Lot | Dispatching Message sent time in ascending order |
4 | 현재 장비로 예약 목록에 있는 Lot 다른 예약 목록에 있는 Lot | Operator’s Lot reservation time in ascending order at equipment |
5 | ‘What-next’ 목록에 있는 Lot | Sorting order by the Sorting Logic of the Dispatcher |
6 | Abnormal Lot, such as Hold, etc. | Arrival time in ascending order to process |
7 | Others, such as dummy, empty cassette, etc. | – |
02Rule Modeler
- Rule Modeling : 워크플로우 기반 '디스패칭 규칙' 디자인 - 직관적이고 명확합니다.
- 반자동 디스패칭 기능은 운영자가 Lot 프로세스의 '다음은 무엇인가' 또는 '어디로 갈까'를 선택할 때 참고할 결정 지원 기능을 제공합니다.

- Rule Modeling
- Rule Trance: 규칙을 배포하기 전에 규칙의 논리를 확인합니다
- 시각적 추적을 위해 그래픽으로 제공되는 '개발된 활동 흐름' 표시입니다.
- Debugging: 활동에서 중단점을 사용하여 단계별 논리 확인을 지원합니다.
03Rule Assign Manager
- Rule Assign Manager
- 관리 기능 ('디스패칭 규칙', 규칙 할당 데이터, 정책 등)
- Reference data migration
- MES에서 장비 및 작업에 대한 참조 데이터를 자동으로 이관하여 디스패칭 규칙 할당에 사용합니다.
- Policy modeling
- 규칙은 Load_Request('다음에 무엇을 할지') 또는 Unload_Request('어디로 이동할지') 이벤트에 따라 분류됩니다. 각 규칙 그룹에 대해 '규칙 할당 정책'이 정의되어야 합니다. 이벤트가 발생하면, 시스템은 이 정책에 따라 실행할 규칙을 결정합니다.
- Rule assign
- 규칙을 할당하려면, 1) 규칙 그룹과 2) 정책에 따른 범주를 선택해야 합니다. 규칙 정책에 따라 규칙 할당과 실행을 수행합니다.
- Run/Debug
- 시뮬레이션 모드를 선택하여 시뮬레이션을 실행합니다. 예를 들어, 자동 디스패칭 모드나 UI 모드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이벤트를 생성하기 위해, 시스템은 '다음에 무엇을 할지'에 대한 장비와 포트를 선택하고, '어디로 이동할지'에 대한 장비, 포트 및 카세트를 선택합니다.
04Rule Execute Summary
- Report
- 장비 이벤트, 규칙 실행, 최종 디스패칭 명령 등 디스패칭 결과에 대한 보고서를 제공합니다. MES와 연결하여 운영자는 이러한 보고서를 MES에서 검색할 수 있습니다.
05Monitoring Manger
- Monitoring
- 사용자는 정의된 기간 동안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차트나 테이블을 검색할 수 있습니다. 또한, '마법사(Wizard)'를 통해 쉽게 모델링할 수 있습니다.
- Monitoring modeling
- 운영자는 특정 데이터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특정 간격 시간을 설정하고, 차트 또는 테이블 형식으로 결과를 검색할 수 있습니다. 운영자는 '마법사(Wizard)'를 사용하여 모니터링 모델링을 할 수도 있습니다.
제품지원
“Verified or Sustainable”
More than 30 years of experience and over 100 factories
UMS
- 소프트웨어 유지보수(software maintenance) 를 위한 배포된 이후 결함을 수정하고 성능이나 기타 특성을 개선하는 및 제품의 수정을 위한 UMS Center 운영
운영교육
- 제품 배포 후 운영을 위한 시스템 관리자 매뉴얼 제공
- 관리자를 위한 제품 교육
- 운영 체제 관리, 운영 체제의 일상적인 유지보수를 위한 전담 제품 관리 Center 운영
제품지원
- 제품 업데이트 기능 서비스
- 사용자를 위한 온라인 매뉴얼 및 사용설명
- 제품 관련 의견/ 제안을 할 수 있는 온라인 소통공간 서비스